따라비 오름
따라비 오름
-
지역제주
-
주소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 가시리산62
-
연락처
소개
정보
3개의 굼부리가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크고 작은 여러 개의 봉우리가 매끄러운 등성이로 연결되어 한 산체를 이룬다.
말굽형으로 열린 방향의 기슭쪽에는 구좌읍 `둔지오름`에서와 같은 이류구들이 있다.
이류구가 있는 것으로 보아 비교적 최근에 분출된 신선한 화산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한다.
* 이류구화산체가 형성된 후에 용암류가 분출, 화구륜의 일부가 파괴되어 말굽형을 이루게 용암의 흐름과 함께
이동된 이류(泥流)가 퇴적한 것 호칭이 여러개가 있고 그 어원에 대한 해석이 구구함.
주위의 묘비에는 대개 地祖岳(지조악) 또는 地翁岳(지옹악)으로 표기돼 있고,
多羅肥(다라비)라는 것도 보이며, 한글로는 따라비라 적힌 것도 있다고 한다.
옛 지도에는 지조악이라는 것은 찾아볼 수 없다고 하며 多羅非(다라비)로 나온다고 한다.
* 따라비모지오름(母子岳)에 이웃해 있어 마치 지아비, 지어미가 서로 따르는 모양에서 연유됐다고 한다.
따래비(땅하래비, 地祖岳) : 모지오름, 장자오름, 새끼오름이 모여 있어서 가장격이라하여
`따애비`라 불리던 것이 `따래비`로 와전된 것이라고 한다.
加時里誌(1998) 따하래비 : 모지오름과는 시아버지와 며느리의 형국이라는 데서 연유됐다고 한다.
따라비(多羅非, 地組岳) : `다라비`가 원이름이고 고구려어에 어원을 둔다는 것이라고 한다.
`다라`라는 말은 고구려어 `달을(達乙)` `달(達)`에서 온 것으로 `높다`는 뜻이고
`비`는 제주 산명에 쓰이는 `미`에 통하는 접미사로 다라비=다라미, 즉 `높은 산`이라는 뜻이 되며
이 `다라비`가 `따라비`로 경음화한 것이 `따라하비`. `땅하라비`로 풀이되면서
지조악이라는 한자표기가 나오게 된 것이라고도 한다.
- 김인호 박사(민속학자) 장자오름, 모지오름, 새끼오름, 대록산, 번널오름, 뱅곳오름, 설오름 정상에 3개의 굼부리가 있다.
표고 342m, 비고 107m, 둘레 2,633m, 면적 448,111㎡, 저경 855m 복합형(원형, 말굽형)
위치
주변정보
주변 관광지 탭 내용
-
제주 유채꽃축제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녹산로 381-17
1.6km -
조랑말체험공원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 녹산로 381-15(표선면)
1.6km -
OK승마장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번영로 2595
4.1km -
성읍민속마을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정의현로 19
5.6km -
셰프라인월드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비자림로 1181
5.9km
주변 레저활동 탭 내용
-
없음
주변 숙소 탭 내용
-
허브올레펜션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번영로 2543-5
3.9km
주변 식당 탭 내용
-
옛정의골식당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구좌읍 중산간동로 4592
6.1k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