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내 주변 바다 여행지를 빠르게 확인하세요!
봄 여름 가을 겨울 계절에 알맞은 여행지를
지역별 코스에 맞게 추천해 드립니다.
봄
[소개]
동해의 나폴리라고도 불릴 만큼 바닥이 훤히 들여다보이는 맑은 바닷물과 기암괴석이 어우러진 이국적인 풍광 속에서 투명카누와 바다래프팅, 스노클링 등의 해양레츠를 즐길 수 있는 장호어촌체험마을은 수상레포츠의 천국이다. 바로 옆의 장호항은 고깃배가 드나들며 부려 놓은 우럭이나 광어, 감성돔, 놀래미 등의 자연산 활어와 선어를 경매하는 위판장이 있다. 천혜의 자연환경을 갖춘 장호마을 항구의 음식점들은 제 철을 맞은 싱싱한 자연산 활어를 이용한 메뉴들을 갖추고 있다.
다양한 어종의 활어 집산지인 장호항에서는 누구나 횟감을 쉽게 구입할 수 있지만 장호 앞바다를 바라보며 정갈한 한 상을 받는 것도 좋다. 장호항의 중심에 위치한 깔끔한 외관의 장호항회타운을 운영하는 사장님은 우연히 놀러온 장호항의 아름다운 풍경에 반해 그만 눌러앉아 음식점을 열게 되었다. 이 집에서는 매일 아침 경매로 구입한 자연한 활어만을 사용해 신선하고 맛깔 나는 메뉴를 내놓는다. 숭덩숭덩 썰어 내놓는 찰진 회와 살짝 얼린 매콤한 육수와 회를 건져먹고 난 다음 밥을 말아 먹는 물회, 그리고 회와 함께 썩썩 비벼먹는 회덮밥 한 그릇이면 세상 부러울 게 없다. 자연산 미역, 피뿔고둥, 멍게, 해삼, 생선구이 등도 곁들이 음식으로 나온다.일반 횟집처럼 다양한 메뉴가 있지만 늘 자연산을 접할 수 있는 항구 맛집이니만큼 제 철 활어 메뉴를 선택하는 것이 제대로 바다의 맛을 즐기는 비결.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장호항길 115 (장호리 3-1)
여
름
장호리의 옛 명칭은 장오리였다. 마을의 지형이 수컷 오리인 장오리를 닮았다고 해서 그렇게 불리다가 지금의 장호리로 바뀌었다.
장호항은 1971년에 국가어항으로 지정됐다. 1973년에는 기본시설계획이 수립되었고, 정비계획은 1993년에 수립되어 1999년에 방파제 및 호안 공사가 시행되었다. 현재는 방파제 290m와 방사제 196m를 비롯해 대규모 물양장과 호안을 갖추었다. 주요 어종으로는 가자미, 오징어, 대구, 대게, 도루묵, 곰치, 꽁치, 임연수어 등이 있다. 주변 갯바위에서는 자연산 돌미역과 돌김도 많이 난다. 장호항은 항구 자체보다도 어촌체험마을로 더 유명하다. 장호어촌체험마을은 해양레저형 체험마을로 우리나라에서도 손꼽히는 곳이다.해안선이 절경인 동양의 나폴리
초승달 모양의 용화해변과 유리처럼 투명한 에메랄드빛 바다, 장호항 전경 등이 한데 어우러진 풍광은 숨이 막히고 탄성이 절로
터져 나올 만큼 아름답고 웅장하다. 과연 ‘한국의 나폴리’라 불리울 만하다. 장호항 주변에 모래가 깔린 얕은 바다와 아름다운 갯바위가 많아서 게?고둥 잡이, 통발어업, 창경바리, 후릿그물 당기기, 스노클링, 스쿠버다이빙, 투명카누 타기 등 다양한 어촌체험활동이 가능해서 동해안 최고의 어촌체험마을로 손꼽힌다. 게다가 데크전망대, 지압산책로 등의 편의시설이 갖춰져 있고 숙박업소와 음식점도 많아서 사계절 휴양지로도 안성맞춤이다. 또한 삼척의 어항들 가운데 낚싯배가 가장 많은 장호항은 가자미나 대구 지깅 배낚시를 즐기려는 낚시꾼들의 발길이 일 년 내내 끊이질 않는다.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장호항길 111 (장호항어민대기소)
가
을
2021년 정동진해수욕장 개장일은 7월 16일이며, 폐장일은 8월 29일이다.
정동진에서 해수욕할 수 있는 곳은 세 곳이 있는데, 정동진역앞의 바다와 모래시계 공원 앞의 바다, 그리고 정동진 방파제가 있는 바다이다.
넓고 이용하기 쉬운 곳은 정동진역앞의 해변과 모래시계공원 앞의 바다이다. 모래시계 공원이 낮과 밤을 밝혀주며 남으로는 조각(해돋이)공원과
헌화로가 있는 관광명소이다. 특히 정동진역 앞에서는 조개와 홍합, 미역, 성게 등을 따먹을 수 있는 바위가 많아서 사람들이 많이 찾고 있다.
또한 정동진역은 세계에서 바다와 제일 가까이 있는 간이역으로, 동해의 푸른 창파에서 우람하게 솟아오르는 해를 맞는 관광객들이 많다.
강동면 정동진1리에 있으며 길이 250m, 1만3천㎡의 백사장이 있는 일반 해변이다.
특히 지난 1997년 정동진 해돋이 관광열차의 운행으로 급부상하여 관광객들이 사계절 내 내 붐빈다.
마을 한가운데 솟은 산은 옛날 강원도 고성에서 떠내려 왔다고 하여 이름지어진 고성산은 고성에서 해마다 세금을 받아 갔으나
마을 신동의 지혜로 그때부터는 세금을 내지 않았다고 한다.
이 산 봉우리에 팔각 정자를 1999년 6월 말에 완공을 하여 영인정(迎仁亭)이라 이름 짓고 관광객들이 해돋이를 잘 볼 수 있도록 했다.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겨
울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하도리 굴동포구에서 이르면 50여 미터
쯤 떨어진 곳에 표류하는 듯 떠있는 작은 섬이 보인다. 그섬이 바로
토끼섬으로 한여름 하얀 문주란꽃이 온 섬을 뒤덮을때 그 모양이 토끼
같아서 붙여진 이름이다.
토끼섬은 원래 바깥쪽에 있는 작은 섬이라는 뜻으로 ‘난들여’로 불 려었다. 960여 평의 면적에 백사장과 10여 미터 높이의 현무암 동산
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만조때에는 백사장과 동산이 분리되고 또한 육 지부와도 분리된다.
이 섬에는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문주란이 자생하고 있는데 문주란 은 수선화과에 속하는 상록 다년생초로서 높이 60~70㎝까지 자란다.
겨울에 말랐던 잎이 봄을 맞으면 파랗게 새잎이 돋아나고 7월말쯤부터
백설같은 꽃을 연달아 피워 9월까지 온섬을 하얗게 물들이며 그 은은
한 향기 또한 그지없이 좋습니다. 그 옛날 멀리 아프리카 남단에서 파
도를 타고 온 씨앗이 정착하여 뿌리를 내렸는지도 모른다는 토끼섬 문
주란은 천연기념물 제19호로 지정되어 보호를 받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하도리 14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