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주변 바다 여행지 안내
지금 내 주변 바다 여행지를 빠르게 확인하세요!
지역별 여행지 추천
봄 여름 가을 겨울 계절에 알맞은 여행지를
지역별 코스에 맞게 추천해 드립니다.
봄
여
름
수산리는 350여 년 전에 최씨, 문씨, 김씨 성을 가진 세 가구가 처음 들어와 살면서부터 마을이 형성됐다. 마을 주변의 산자락에는 소나무가 울창하다.
포구 주변에 숲이 울창하면 고기가 많이 몰려든다고 해서 주민들이 일부러 나무를 심고 정성껏 가꿔온 숲이다. 일종의 어부림(魚付林)인 셈이다. 1991년에 국가어항으로 지정된 수산항에는 2002년에 방파제, 물양장 등의 기본시설이 완공됐다. 양양군에서는 요트 계류시설을 확충하는 등 수산항을 해양관광어항으로 적극 개발하고 있다.
강원도 요트관광의 중심
수산항은 잘피가 서식할 정도로 바닷물이 깨끗하다.
바다에 완전히 잠긴 채로 자라는 잘피는 오염된 바다에는 서식하지 않는 바다식물이다. 수산항의 내항에 잘피 군락이 형성돼 있다는 것은 그만큼 바다가 깨끗하다는 뜻이다. 수산항은 요트클럽하우스와 60척의 요트가 동시에 정박할 수 있는 계류시설 등이 잘 갖추어져 있어 강원도의 요트관광 중심으로 떠오르고 있는 곳이다. 대한요트협회장배 전국요트대회가 열리는 곳이기도하다.강원도 양양군 손양면 수산1길 26-41 수산어촌체험마을
가
을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하도리 굴동포구에서 이르면 50여 미터
쯤 떨어진 곳에 표류하는 듯 떠있는 작은 섬이 보인다. 그섬이 바로
토끼섬으로 한여름 하얀 문주란꽃이 온 섬을 뒤덮을때 그 모양이 토끼
같아서 붙여진 이름이다.
토끼섬은 원래 바깥쪽에 있는 작은 섬이라는 뜻으로 ‘난들여’로 불 려었다. 960여 평의 면적에 백사장과 10여 미터 높이의 현무암 동산
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만조때에는 백사장과 동산이 분리되고 또한 육 지부와도 분리된다.
이 섬에는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문주란이 자생하고 있는데 문주란 은 수선화과에 속하는 상록 다년생초로서 높이 60~70㎝까지 자란다.
겨울에 말랐던 잎이 봄을 맞으면 파랗게 새잎이 돋아나고 7월말쯤부터
백설같은 꽃을 연달아 피워 9월까지 온섬을 하얗게 물들이며 그 은은
한 향기 또한 그지없이 좋습니다. 그 옛날 멀리 아프리카 남단에서 파
도를 타고 온 씨앗이 정착하여 뿌리를 내렸는지도 모른다는 토끼섬 문
주란은 천연기념물 제19호로 지정되어 보호를 받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하도리 1433-1
겨
울
-
남도석성
고려시대 고종 이후 시작한 왜구의 침범이 연해 지방을 노략질 함으로써 충정왕 2년 (1350)에는 진도의 관부와 백성들은 내륙 영암지방으로 옮겨 조선시대 세종 19년(1437년)까지 피난생활을 하다 다시 귀향한 것입니다.
이들 수군진들의 축성 연대는 왜구의 침입으로부터 가장 불리한 경상도 및 전라좌수영 관하의 수군진들이 1488년 (성종 19년)에서 1490년(성종 21년)까지 3년간에 걸쳐 축성되고 전라우수영 관하의 수군진들이 연산군 - 중종 연간에 축성된 점으로 미루어 볼때 성종 - 연산군 연간에 이 성이 축성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남도석성은 조선 시대 왜구의 노락질을 막기 위해 수군과 종4품 만호를 배치하여 조도해협과 신안 하의도해역등을 관할하였습니다. 본래의 규모는 그 둘레가 1,233자, 높이가 8자, 샘과 우물이 각각 1개씩 있었습니다. 그러나 영조때 석축 둘레 1,040자, 높이 12자였다고 하며 성의 길이는610m, 높이 5.1m로 현재는 성지가 거의 원형적으로 보존되고 있으며 성안에는 마을이 형성되어 있습니다.현재 관아와 내아 및 객사를 복원하였으며 앞으로 선소와 활터를 복원할 계획이고 동문, 서문, 남문터가 있습니다. 성의 외곽을 건너다니기 위하여 축조한 쌍운교와 단운교는 편마암의 석재를 사용한 것으로 전국적으로 보기 드문 형태라고 합니다.
이 성은 조선시대 수군진영의 진지로서 그 보존 가치가 매우 크다고 합니다.남도석성에 있는 쌍교와 홍교는 석성의 외곽을 건너 다니기 위하여 축조한 것인데, 편마암의 자연 석재를 사용한 것으로는 전국적으로 보기 드물어 학계에서 큰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전라남도 진도군 임회면